해외주식

글로벌 결제 시장의 압도적 리더, 비자(Visa) 기업 분석 및 2025년 주가 전망: 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

tuess 2025. 6. 12. 01:13
728x90

우리가 매일같이 사용하는 카드, 그중에서도 파란색 바탕에 금색 글씨로 새겨진 'Visa' 로고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결제 브랜드입니다. 하지만 Visa는 단순한 신용카드 회사가 아닙니다. Visa는 소비자, 기업, 은행 및 정부 기관을 연결하여 현금과 수표 대신 디지털 통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결제 기술 기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글로벌 결제 시장의 거인, Visa의 비즈니스 모델부터 경쟁 환경, 성장 전략, 그리고 최신 재무 성과와 애널리스트들의 2025년 주가 예측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독자 여러분의 현명한 투자 결정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Visa는 전 세계 20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운영되는 방대한 결제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결제를 촉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Visa는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시장에서 50.1%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며 업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2023년 한 해 동안 Visa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된 거래량은 무려 14조 달러에 달합니다. 이는 Visa가 글로벌 경제 시스템에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반응형

비자의 비즈니스 모델: 돈은 어떻게 버는가?

Visa의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4당사자 모델'을 알아야 합니다. 이 모델은 ①카드를 사용하는 '카드 회원', ②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가맹점', ③가맹점을 모집하고 거래 리스크를 관리하는 '매입사/처리사', ④카드 회원에게 카드를 발급하는 '발급사',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연결하고 처리하는 결제 네트워크 운영사인 'Visa'로 구성됩니다. 중요한 점은 Visa가 직접 카드를 발급하거나 소비자에게 돈을 빌려주는 대출(여신) 업무는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대신, 결제 승인, 청산, 결제 등 거래 처리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운영 규칙을 제정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Visa의 주요 수익원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2019년 기준).   

  • 데이터 처리 수익 (Data Processing Revenues): 결제 승인, 청산, 정산 등 거래 관련 정보 처리 및 지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2019년 매출의 35%)
  • 서비스 수익 (Service Revenues): Visa 브랜드 사용료 및 다양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 이용료에서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2019년 매출의 33%)
  • 국제 거래 수익 (International Transaction Revenues): 국가 간 거래 처리 및 환전 관련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수수료입니다. (2019년 매출의 27%)
  • 기타 수익 (Other Revenues): 부가 가치 서비스, 라이선스 계약 등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2019년 매출의 5%)

 

가장 최근 발표된 2025 회계연도 2분기(2025년 3월 31일 마감) 실적을 살펴보면 Visa의 견조한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순매출(Net Revenue): 9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습니다 (고정 달러 기준 11% 증가).
  • GAAP 순이익(GAAP Net Income): 46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 GAAP 주당 순이익(GAAP EPS): 2.32 달러입니다.
  • 비 GAAP 순이익(Non-GAAP Net Income): 5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했습니다.
  • 비 GAAP 주당 순이익(Non-GAAP EPS): 2.76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습니다.
  • 결제 규모(Payments Volume):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습니다 (고정 달러 기준).
  • 해외 거래 규모(Cross-Border Volume Excluding Intra-Europe):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고정 달러 기준).
  • 총 해외 거래 규모(Total Cross-Border Volume):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고정 달러 기준).
  • 처리된 거래 건수(Processed Transactions): 607억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수익 구조는 Visa가 글로벌 카드 사용량 증가에 따라 직접적인 수혜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 많은 사람이 Visa 카드를 사용할수록, Visa 카드를 받는 가맹점이 늘어나고, 이는 다시 Visa 카드 사용자를 증가시키는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합니다. 또한, Visa는 매출 규모가 커질수록 단위당 비용이 감소하는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실제로 매출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는 동안 네트워크 및 처리 비용은 약 40%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더불어, 네트워크 수수료는 가맹점이나 매입사가 협상하기 어려운 항목으로, Visa는 강력한 가격 결정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과거 한국의 카드사들을 상대로 수수료율을 1.0%에서 1.1%로 인상한 사례도 이를 뒷받침합니다.  

 
728x90

Visa를 둘러싼 시장 환경 및 경쟁 구도

글로벌 결제 시장 트렌드

전 세계적으로 현금 사용이 줄어들고 디지털 결제가 빠르게 확산하는 추세입니다. 과거 현금 선호도가 높았던 유럽 지역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결제 시장은 2025년까지 18조 6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디지털 지갑이 2025년에는 전 세계 결제의 과반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실제로 PayPal은 2025년 온라인 결제 시장에서 45%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글로벌 결제 시장을 이끄는 주요 트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디지털 지갑(Digital Wallets) 확산: Apple Pay, Google Pay와 같은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북미 지역 모바일 지갑 거래의 약 90%는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비접촉 결제(Contactless Payments) 및 QR 코드 결제 증가: 카드나 스마트폰을 단말기에 대기만 하면 결제가 완료되는 비접촉 결제와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가 특히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선구매 후결제(BNPL: Buy Now Pay Later) 서비스 성장: 상품을 먼저 받고 나중에 대금을 분할하여 지불하는 BNPL 서비스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실시간 결제(Real-Time Payments, RTP) 인프라 구축 확대: 자금이 즉시 이체되는 실시간 결제 시스템 도입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국경 간 결제(Cross-border Payments) 혁신: 국가 간 송금 및 결제 절차가 더욱 간편하고 저렴해지고 있습니다.  
     
  • 결제 오케스트레이션(Payment Orchestration) 중요성 증대: 다양한 결제 수단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의 결제 경로를 제공하는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디지털 화폐 및 암호화폐 결제(Crypto Payments) 가능성: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 규제 문제와 가격 변동성 등의 해결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특히 아시아-태평양 및 라틴아메리카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더욱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경쟁사 분석

Visa는 치열한 경쟁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주요 경쟁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stercard: Visa와 매우 유사한 '개방형 루프(Open-loop)'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분석 서비스 분야로 사업을 적극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기준으로 두 회사를 비교하면, 주가수익비율(P/E)은 Visa가 35.8배, Mastercard가 40.4배이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Visa가 51.7%, Mastercard가 188.9%입니다. 순이익률(Net Margin)은 Visa가 52.9%, Mastercard가 45.2%로 나타나, Visa가 마진과 성장성 면에서 소폭 우위를 보이는 반면, Mastercard는 자본 효율성을 나타내는 ROE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 American Express (AmEx): '폐쇄형 루프(Closed-loop)' 모델을 운영하며 카드 발급부터 가맹점 관리까지 직접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 데이터를 직접 확보하고 프리미엄 고객층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강점을 보입니다.  
     
  • PayPal: 디지털 지갑 시장의 선두 주자로, 온라인 결제 및 국경 간 송금 서비스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기타 핀테크 기업 및 현지 결제 시스템: Square(현 Block), Stripe와 같은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들과 중국의 UnionPay, 인도의 UPI 등 각국을 대표하는 현지 결제 시스템 역시 Visa의 경쟁 상대로 볼 수 있습니다.  
     

Visa와 Mastercard는 광범위한 금융기관 및 가맹점 파트너십과 강력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반면, AmEx는 직접적인 고객 관계와 프리미엄 서비스에, PayPal은 온라인 및 모바일 환경에 특화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규제 환경 및 리스크 요인

Visa와 같은 글로벌 결제 기업은 다양한 규제 환경에 직면해 있습니다. 각국 정부는 자국 결제 인프라를 강화하고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Visa의 사업 확장에 제약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유럽연합(EU)은 Visa와 Mastercard의 카드 수수료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진행하는 등 수수료 인하 압박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암호화폐와 같은 신기술 관련 규제의 불확실성, 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경제 불안정 및 환율 변동성, 그리고 날로 정교해지는 사이버 보안 위협 등도 Visa가 안고 있는 리스크 요인입니다. 이러한 규제 강화 움직임은 단기적으로 Visa의 수수료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시장 진입 장벽을 높여 기존 사업자인 Visa의 시장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비자의 성장 동력과 미래 전략

핵심 성장 동력

Visa의 성장을 이끄는 핵심 동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글로벌 소비 지출 증가 및 비현금 결제 전환 가속화: 전 세계적으로 소비 지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금 대신 카드나 디지털 결제를 사용하는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이는 Visa의 결제 처리량 증가로 직접 이어집니다.  
     
  • 신흥 시장의 디지털 결제 채택 확대: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신흥 시장에서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함께 디지털 결제 서비스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어 Visa에게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전자상거래(E-commerce) 및 모바일 결제 성장: 온라인 쇼핑과 모바일 앱을 통한 결제가 일상화되면서 Visa의 디지털 결제 처리 건수와 금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래 성장 전략

Visa는 현재의 시장 지위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다각적인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가치 부가 서비스(Value-Added Services, VAS) 확장: Visa는 단순 결제 처리를 넘어 리스크 관리, 사기 방지 솔루션, 데이터 분석, 컨설팅, 토큰화 기술, 발행사 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익원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VAS 부문은 2021년 이후 연평균 20%의 놀라운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며 90억 달러 규모의 핵심 사업으로 성장했으며, 2024 회계연도에는 Visa 전체 매출 성장의 약 52%를 기여했습니다. 최근에는 금융 소프트웨어 기업 Pismo, 사이버 보안 기업 Featurespace 등을 인수하며 VAS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 B2B 결제 시장 공략 (Visa B2B Connect, Visa Direct): 기업 간(B2B) 결제 시장은 소비자 결제 시장보다 규모가 훨씬 크지만 디지털 전환이 상대적으로 더딘 분야로, Visa에게 막대한 성장 잠재력을 제공합니다. Visa Direct는 개인 간(P2P), 기업 대 소비자(B2C), 정부 대 개인(G2C) 및 중소기업 간 B2B 결제를 지원하며 2024년 한 해에만 약 100억 건의 거래를 처리했습니다. 현재 195개 이상의 국가에서 150개 이상의 통화를 지원합니다. Visa B2B Connect는 대규모 기업 간 국제 결제를 위한 특화된 솔루션입니다. Visa의 상업 및 자금 이동 솔루션(CMS) 부문은 2021년 이후 연평균 22% 성장하며 2024 회계연도에 1조 7천억 달러의 거래량을 기록했습니다.  
  • 신규 결제 흐름(New Flows) 개척: 정부의 복지 지원금 지급(G2C), 기업의 급여 지급(B2C) 등 새로운 영역으로 결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 BNPL(Buy Now Pay Later) 시장 참여 (Visa Installments): Visa는 자체적으로 BNPL 상품을 직접 출시하기보다는 기존의 방대한 Visa 네트워크와 카드 인프라를 활용하여 금융기관과 가맹점이 손쉽게 BNPL 옵션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Visa Installments' 솔루션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가맹점은 별도의 시스템 통합 없이도 Visa 카드가 사용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소비자에게 할부 결제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직접적인 경쟁을 피하면서도 빠르게 성장하는 BNPL 시장의 수혜를 입으려는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 핀테크 파트너십 및 투자/인수: 변화하는 금융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Earthport(국제 송금), Currencycloud(B2B 국경 간 결제), YellowPepper(모바일 결제) 등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인수하거나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 디지털 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 활용 모색: Visa Crypto Solutions, Visa Open Banking Solutions 등을 통해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결제 솔루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들은 Visa가 단순한 결제 네트워크 제공자를 넘어 데이터, 보안, 분석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종합 금융 인프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비자(V) 주가 분석 및 2025년 전망

현재 주가 및 주요 지표

2025년 6월 9일 종가 기준 Visa(종목코드: V)의 주가는 366.66 달러입니다. 같은 날 거래량은 1,447건이었으며, 52주 최고가는 371.00 달러, 최저가는 252.70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참고로, 2025년 초 다른 시점의 주가 $335.17 기준 Forward P/E는 26.37배, 주당순이익(EPS)은 9.92달러, 자기자본이익률(ROE)은 51.19%, 배당수익률은 0.70%(배당성향 21.67%) 수준이었습니다. )  

 

Visa의 높은 ROE는 자본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배당성향은 벌어들인 이익의 상당 부분을 사업 확장과 성장을 위한 재투자에 사용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및 목표 주가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은 Visa에 대해 전반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36명의 애널리스트를 기준으로 산출된 Visa의 평균 목표 주가는 386.25 달러로, 현재 주가(2025년 6월 9일 기준 $366.66) 대비 약 5.34%의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고 목표 주가는 425.00 달러, 최저 목표 주가는 305.00 달러입니다.  

 

평균 투자의견(ABR)은 1.41로, 1점(강력 매수)에서 5점(강력 매도) 척도에서 '강력 매수'와 '매수' 사이에 해당합니다. 실제로 39건의 투자의견 중 '강력 매수'가 29건, '매수'가 4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보유'는 6건, '매도'나 '강력 매도' 의견은 없었습니다.  

 

주요 투자은행별 Visa 투자의견 변동 (최근)

기관 (Analyst Firm)날짜 (Date)현재 투자의견 (Current Rating)이전 투자의견 (Previous Rating)
Mizuho Securities 2025년 6월 5일 Strong Buy Hold
William Blair 2025년 6월 5일 Strong Buy Strong Buy
Truist Securities 2025년 6월 2일 Strong Buy N/A
Citigroup 2025년 5월 21일 Strong Buy Strong Buy
Wolfe Research 2025년 5월 16일 Strong Buy Strong Buy
출처: Zacks Investment Research   
 

기술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일부 예측도 참고할 만합니다. 예를 들어, Litefinance는 자체 분석을 통해 2025년 말 Visa 주가가 415.00 달러에서 440.00 달러 사이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다른 분석기관인 StockScan이나 CoinPriceForecast의 2025년 말 예측치는 이보다 다소 보수적인 경향을 보였습니다. )  

 

이처럼 다수의 애널리스트가 Visa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는 이유는 견조한 실적 성장세, 강력한 시장 지배력, 그리고 B2B 결제 및 부가 서비스와 같은 신사업 확장 가능성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주가 전망 및 투자 전략

Visa의 향후 주가에 영향을 미칠 긍정적인 요인과 주의해야 할 리스크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긍정적 요인:

  • 지속적인 매출 및 이익 성장: 최근 발표된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에서도 확인되었듯이 Visa는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디지털 결제 시장의 구조적 성장: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결제가 확산되면서 Visa가 속한 시장 자체가 계속해서 커지고 있습니다.  
     
  •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네트워크 효과: Visa라는 브랜드가 가진 신뢰도와 방대한 결제 네트워크는 강력한 경쟁 우위입니다.  
     
  • B2B, VAS 등 신규 성장 동력 확보: 기업 간 결제, 부가 서비스 등 새로운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 꾸준한 자사주 매입 및 배당 증가 가능성: Visa는 주주환원 정책에도 적극적입니다. 2025 회계연도 2분기에 약 4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으며, 최근 이사회는 300억 달러 규모의 새로운 다년간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승인했습니다.  
     

주의할 점 (리스크 요인):

  •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Visa의 주가수익비율(P/E) 등 밸류에이션 지표는 동종 업계 평균 대비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시장의 높은 기대감이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규제 리스크: 각국 정부의 반독점 조사나 카드 수수료 인하 압력은 Visa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핀테크 경쟁 심화 및 기술 변화 대응: 혁신적인 기술을 가진 핀테크 기업들과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새로운 결제 기술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 및 소비 위축 우려: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 침체로 인해 소비 지출이 위축될 경우 Visa의 실적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Visa의 CEO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지출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투자 전략 제언: Visa는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기업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결제 시장의 지속적인 디지털 전환과 B2B, 부가 서비스 등 신사업 확장을 통해 여전히 매력적인 성장 스토리를 써 내려가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Visa의 성장 잠재력을 믿는 투자자라면 분할 매수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과 규제 관련 뉴스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Visa는 포트폴리오 내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종목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기대감이 이미 주가에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투자 시점과 비중 조절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결론

Visa는 의심할 여지 없이 글로벌 결제 시장을 지배하는 강력한 기업입니다. 견고한 비즈니스 모델,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 그리고 다양한 신성장 동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결제 시장의 구조적인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물론, 각국 정부의 규제 강화 움직임과 치열해지는 경쟁 환경 변화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부분입니다. 2025년 Visa의 주가 전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지만, 모든 투자 결정은 개인의 투자 목표, 위험 감수 수준, 그리고 시장 상황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앞으로 Visa가 끊임없는 혁신과 시장 변화에 얼마나 성공적으로 대응해 나갈지가 향후 주가 흐름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비자 #Visa #비자주가 #VisaStock #미국주식 #글로벌결제 #핀테크 #디지털결제 #가치투자 #성장주 #2025년주가전망 #투자전략 #Visa기업분석

728x90